필리핀 부동산 투자 필탑부동산 2008. 8. 6. 21:18
반응형

수많은 업체들이 저에게 제안을 해옵니다.

솔직히 수많은 업체라고하면 뻔~한 거짓말이죠.. 한달에 한 5~8개 정도 업체 정도입니다. ㅋㅋ

 

암튼 업체들의 관심사는 전화영어 하청업체를 찾고 있다는 겁니다. 예전보다 그 수요가 더 많아진 것 같습니다.

이제는 전화영어 콜센터와 마케팅 업체가 나름대로의 사업으로 성장하고 있다는 거겠죠

이러다보니 가장 중요한 건 역시 무엇보다 업체간 협력관계입니다.

 

원청의 입장에서는 1군데의 업체에게 하청을 주는것보다 여러업체를 경쟁하면서

하청을 주는게 리스크를 줄이는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기본적인 아웃소싱관리 전략은 하청업체에게 적정한 수강생을 지원해야한다는 것입니다.

아웃소싱 입장에서는 계약서 상에 특정 기간 내에 목표 회원수를 기재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입니다.

원청입장에서는 이러한 항목은 걸림돌이 될 수 밖에 없죠

하지만 원청에서 아웃소싱업체에게 적정 수강생을 지원하지 못하면 원청 입장에서는 오히려 그 아웃소싱 업체와 소원해지기 쉽습니다.

 

무엇보다 이러한상황의 원인은 기본적인 문제이긴 합니다만 담당자간의 커뮤니케이션이 될 수 있죠

담당자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지 못하면 회원의 분배가 제대로 되지 않고

원청에서 이런 문제점을 간파하지 못하면 나중에는 하청업체 관리를 잘 못해서 다른 문제를 안게 됩니다.

 

결국 처음에 계획했었던 하청관리로 위험을 최소화하려면 계획이 수포로 돌아가는 거죠

다시 하청관리의 리스크를 안게되는 겁니다.

 

만약 회원이 한 업체로 집중될 때, 아웃소싱업체에서 일방적인 수강료 인상을 요구한다면

새로운 하청업체를 찾아야되는 수고와 함께 그 사이에 기존 아웃소싱의 요구를 받아들일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되고 그 결과 중소기업에서는 상당한 리스크로 작용하게 됩니다.

 

아웃소싱 업체의 규모가 커지면 그만큼 원청과의 관계에서 갑과 을이 바뀌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있다는 거죠.

물론 이런 경우는 일부에 지나지 않습니다.

특히 규모가 있는 기업간 거래에 있어서는 특히 이러한 원청과 아웃소싱의 계약에 있어 상호간의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고

회원의 규모를 가지고 있는 원청에서는 해당 콜센터를 방문하여 초기의 리스크를 방지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러한 문제의 답은 원청 담당자와 아웃소싱 담당자의 원활한 관계 성립이고, 관계에 대한 문제를 파악할 줄아는

상사의 관리능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요즘엔 할 일이 정말 많습니다.

암튼 모두 더운 날씨에 건가하세요~

제가 있는 방에서 바라 본 비오는 풍경입니다.  비가 한 5분 동안 거세게 내리더니 한 순간에 잠잠해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