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 부동산 투자 필탑부동산 2009. 4. 7. 00:06
반응형

콜센터를 구축하고 싶은 학원 원장님들, 혹은 아웃소싱만 하시던 기존 온라인 영어교육 업체 사장님들

콜센터 구축을 하고 싶은데 도대체 얼마나 비용이 들어갈까요?

 

지금부터 이야기하는 콜센터구축비용은 온라인 영어교육  콜센터 기준입니다.

기타 일반 CRM 고객센터용 콜센터와는 다소 차이가 있고 이에 대한 설명은 추후에 다시 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러한 차이 등은 시스템과 직원들의 근무시간, 직원들의 필요능력 등이 연관되어 있습니다.

 

우선 하나씩 풀어나가면...

 

콜센터 구축비용을 이야기하면서 콜센터의 고정비용에 대해서 이야기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콜센터의 고정비용은 콜센터에서 학생이 있거나 말거나 무조건 지출되어야만 하는 비용입니다.

이 비용이 크면 클수록 콜센터의 재무 건전성이라든지, 콜센터 사업확장등에 대한 장애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또 이 비용 때문에 도산한 업체들도 많습니다. 그만큼 중요한 부분입니다.

 

그럼 무엇이 고정비용인가?

 

1. 사무실 임대료

사무실 임대료는 반드시 지불되야하는 비용입니다. 건물이나 사무실을 구매할 수 없다면 말이죠

누구나 사무실을 임대해야합니다.

사무실 임대료는 필리핀에서는 sqm(㎡) 단위로 거리를 측정합니다.

일례로 마카티와 까비테의 차이를 보면

 

마카티에선 74sqm일 때, 월 27,000페소에다가 관리비 5,000페소 총 32,000페소를 지출했습니다.

그럼 74 ÷ 32,000 = 432.4324페소인 셈입니다.

까비테에서는 관리비 없이 월간 5000페소를 월 임대료로 지출하고 있으니, 25sqm ÷ 5,000 = 200페소인 셈입니다.

 

1SQM당 가격이 두배 이상 차이가 납니다. 즉, 그만큼 고정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얘깁니다.

 

2. 강사인건비

강사인건비에 대해서 사실 이렇다할 절대 기준은 없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마카티나 오르티가스이 강사인건비를 보면 최저 13,000 ~ 20,000페소가지 다양합니다.

하지만 평균적으로 15,000 ~ 16,000페소를 강사 급여로 보고 있습니다.

현재 환율 기준으로보면 412,950원 ~ 440,480원 사이가 됩니다.(기준일: 2009.04.06 | 고시회차: 99 회차 (15:28) | 제공:외환은행)

 

하지만 여기 까비테는 같은 강사의 급여가 10,000페소 ~ 11,000페소 정도입니다.

그 이유는 마카티나 오르티가스의 강사들이 모두 인근지역에서 출근하는 강사들이 많다는 점을 간과하면 안됩니다.

즉, 마카티나 오르티가스의 강사인건비가 비산 이유는 그만큼 차비와 그에 따르는 경비, 식비 등이 포함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까비테의 강사 급료가 낮은 이유는 모두 인근 지역에 거주하고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거주지와 인접하여 차비 및 기타 경비가 소요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럼 이 역시 현재 환율로 보면 275,300원 ~ 302,830원 가량이 됩니다.(상동: 외환은행 제공)

 

이미 인건비에서 1인당 14만원 이상 차이가 납니다. 만약 강사 10인을 고용했다면 140만원 이상 인건비에서 차이가 난다는 겁니다.

 

 

3. 인터넷

인터넷, 사실 가장 중요한 부분 중의 하나입니다. 전용선을 사용하면 정말 좋습니다.

하지만 전용선은 2mb에 1,200달러(1,576,200원), 5mb에 2,000달러(2,627,000원), 10mb에 3,500달러(4,597,250원)(이큐브 기준)

정말 중소업체들에겐 엄두가 나지 않을 만큼 고가의 인터넷 비용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런데 모두가 이런 고가의 인터넷 전용선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는 겁니다.

 

스카이프를 사용한다면 인터넷이 끊기지 않는 정도의 PLDT, GLOBE등 일반 DSL라인을 사용해도 충분한 효과를 가져갈 수 있다는 겁니다.

하지만 고속도의 화상솔루션을 사용한다면 DSL라인보다는 전용선을 선택하시기를 권해드립니다.

DSL라인으로는 일반 화상솔루션을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화상솔루션은 서버를 중심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인터넷 속도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하지만 스카이프는 P2P방식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인터넷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지만 하드웨어 사양에 따르는 장애는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즉, 인터넷이 아니라 컴퓨터 하드웨어의 영향을 받는다는거죠, 특히 메모리가 512mb ~ 1GB이상되어야 안정적으로 운영됩니다.

자~

그렇다면 PLDT나 GLOBE의 비용은?

2mb짜리 DSL이 월간 2000페소 그럼 왜 PLDT 하나만 사용하지 왜 두개나 쓰냐고 하신다면, PLDT는 GLOBE보다 고속인 반면에 종종 끊김현상이 발생합니다.

어느지역에서나 거의 대동소이하게 나타납니다. 그러다보니 백업마응로 GLOBE를 사용하곤 합니다.

GLOBE와 동시에 두개의 인터넷을 사용하게 되면 인터넷이 끊기는 문제를 다소 해소할 수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내부 네크워크를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내부 인트라넷 접촉불량으로 인해 인터넷이 끊겼다고 오해할수도 있습니다.)

 

그럼 이건 4,000페소(110,120원) vs. 2mb에 1,200달러(1,576,200원)의 차이가 됩니다.

단순하게 어떤 통신수단을 선택하느냐에 따라서 말이죠

 

사실 이외에도 들어가는 비용들은 많습니다만, 일일이 나열하면 저알 하루종일 밤새워도 부족할 겁니다... 또 그만큼 큰 비중을 차지하지도 않고요

주요 핵심적인 이 3가지만 관리할 수 있어도 고정비용 관리는 OK!입니다.

 

이 단순한 고정비용이라는 단어안에는 사업의정체성이 모두 들어가 있습니다.

즉, 일반 솔루션을 사용하느냐? 혹은 스카이프를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인터넷이라는 거대한 고정비용이 달라지고

그에 다라서 지역적인 위치 이동이 수훨해지고 이에 맞춰 임대료에 대한 고정비용이 달라지고... 또한 인건비도 달라지게 됩니다.

 

결국 사업의 정체성에 따라서 이미 사업의 고정비용은 정해져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 어려운 시기에 관연 여러분이 생각하는 현명한 창업이라든지, 사업운영은 어떤것이 되겠습니까?

 

<위 스카이프 그림을 클릭하시면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