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의 생활/나의 이야기

인터넷전화 400만 시대..& 트위터 메시지를 보려면 돈을 내시오!!

필리핀 부동산 투자 필탑부동산 2009. 6. 10. 23:42
반응형

인터넷전화 400만 시대..집전화만 대체할래?

Posted: 08 Jun 2009 10:12 PM PDT

국내 인터넷전화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현재 가입자가 400만명에 육박하며 전체 유선전화 시장의 18%를 차지하고 있다고 한다. 불과 1년 전만 하더라도 감히 상상을 할 수 없는 일이 일어나고 있는 형국이다. 현재 가입자수는 아래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LG데이콤 157만명, KT 63만명, SK브로드밴드 51만명, 한국케이블텔레콤 45만명, 삼성네트웍스 43만명 등 400만명에 육박하고 있으며.. 올 연말에는 600만명(전체 유선전화 가입자수의 27% 정도)에 이를 전망이다.

최근에는 KT와 SK브로드밴드가 인터넷전화가 포함된 결합상품을 내놓으면서.. 결합상품 가입 시 인터넷전화를 선택하는 것도 가입자 증가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듯 하다. 특히 저렴한 요금(070가입자끼리 공짜 통화)와 홈뱅킹을 비롯한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출시되면서 인터넷전화에 대한 거부감이 많이 사라진 것도 한 몫을 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인터넷전화의 성장세를 자세히 뜯어보면 집전화를 대체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대부분 와이파이폰 또는 IP덱트폰 등 기존 전화기와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지닌 하드웨어 단말이 초강세를 보이고 있고.. 여기에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붙는 형국이다. 소프트폰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은 상대적으로 성장세가 더디거나.. 서비스를 접는 곳도 속속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데이콤과의 제휴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해왔던 네이버폰은 올 연말까지만 서비스를 제공하고 폐지하는 것으로 결론을 봤고..나머지 소프트폰 업체들도 속앓이를 하고 있는 모양이다.

기존 소프트폰 서비스 자체가 저렴한 통화를 내세우고 있기 때문에.. 단말기까지 공짜로 주는 대형사업자의 하드폰에 밀리는 것은 당연한 결론으로 생각된다.

지금과 같이 하드웨어폰을 중심으로 집전화 시장을 대체하는 인터넷전화 시장의 성장이 반드시 좋은 일은 아니라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인터넷전화(VoIP)는 IP의 특성을 태생적으로 가지고 있을 수 밖에 없고.. 현재 성장하고 있는 웹서비스와의 접목은 필수 사항이기 때문이다.

즉, 웹브라우저 자체가 전화기이자.. 웹에 올라와 있는 다양한 컨텐츠 중의 일부가 실시간 음성을 포함하고 있어야 하는 것인데.. 국내에서는 이런 시도가 너무 미약하고, 단지 기존 집전화 시장을 대체하는 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장기적인 경쟁력면에서도 큰 도움은 안될 듯 하다.

현재 인터넷전화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LG데이콤, KT, SK브로드밴드 등은 이미 통신시장의 강자들이고.. 이들이 내놓는 것이 기존 집전화 시장을 대체하기 위한 것이라는데 이견이 없다. 이 사업자들한테 웹과 결합된 새로운 서비스를 요구하는 것은 아니지만.. 중소통신사업자나 웹서비스 진영에서 웹 서비스에 인터넷전화를 결합하려는 노력은 국내에서도 출현했으면 하는 바램이다.

[관련글]
2009/04/16 - 네이버폰 서비스 중단..새로운 서비스 나올까?
2009/03/08 - KT 인터넷전화 스타일(Style) 직접 보니...
2009/02/10 - myLG070과 스카이프 간에 통화가 가능할까?
2008/12/19 - 라디오스타와 인터넷전화의 관계는?
2008/11/30 - 번호이동 지지부진 KT, 인터넷전화 홈모니터링 서비스 선봬..
2008/11/12 - 인터넷전화, 무엇을 써야 할까?
2008/11/11 - 삼성와이즈070 인터넷전화 서포터즈 운영
2008/11/07 - KT인터넷전화, 어떻게 팔고 있나?
2008/10/30 - 집전화번호 그대로 인터넷전화 이용하세요!!
2008/09/23 - LG결합상품에 인터넷전화까지 확대
2008/08/08 - 치열한 인터넷전화시장, 삼성070의 선택은?
2008/07/24 - 삼성와이즈070 소프트폰 출시..동시착신 지원
2008/07/01 - 삼성와이즈070 무선 인터넷전화기 신규 출시
2008/06/30 - 나에게 맞는 인터넷전화는 무엇일까?
2008/06/25 - myLG070 1주년을 축하합니다
2008/05/04 - 윈도우 라이브 콜 꼼꼼이 살펴보니..
2008/05/03 - 국내 VoIP, 조금이라도 열려라

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


트위터 메시지를 보려면 돈을 내시오!!

Posted: 08 Jun 2009 04:50 PM PDT

여러분은 140자 밖에 안되는 트위터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돈을 지불할 용의가 있으신지요? 트위터에는 현재 수익모델이 거의 전무한 상태인데.. 향후 수익모델 중에 광고를 게재하거나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트위터에 대해서 비용을 지불하게 할 예정이라고 한다. 트위터를 상업적으로 이용한다는 기준이 무엇이 될지 논란의 여지가 상당히 많을 것으로 판단되는데.. 일반적으로 기업이 트위터를 개설해서 마케팅하는 활동에 대해서 돈을 받을 모양이다.

이런 가운데 자신이 올리는 트위터 메시지를 돈을 받고 판매할 수 있는 써드파티 서비스가 등장했다. 봉이 김선달이 대동강 물을 팔아먹었듯이 140자 밖에 하지 않는 메시지를 과연 누가 돈을 주고 구독할지 의문스럽긴 하지만.. 여튼 서비스는 개시되었다. 서비스 이름은 Super Chirp라고 하는데.. chirp는 새의 울움소리를 의미한다고 한다. 거의 모든 서비스 이름에 지저귀는 새울음소리가 들어가는 듯(덕분에 새와 관련된 영어 단에 통달할 수도 있을 듯 하다.)

일단 자신의 트위터 컨텐츠를 판매하길 원하는 사람은 기존 트위터 계정을 이용해서 Super Chirp 페이지에 로그인을 하면 된다. 로그인 후 자신이 판매할 유료 서비스에 대한 정책을 정할 수가 있는데.. 월정액 요금(0.99~9.99달러)를 정하고, 자신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간단한 소개, 그리고 7일 이후에는 공개 메시지로 전환할 수 있는 옵션도 선택할 수가 있다. 수익의 30%는 SuperChirp에서 가져가고 70%만 준다고 하는데.. 너무 많이 떼가는 것은 아닌지 몰라..

회원 가입이 완료되면 Super Chirp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입력창에서 글을 쓰거나.. 자신이 이용하는 트위터 프로그램에서 superchip에게 다이렉트 메시지를 보내면 된다. 이렇게 포스팅된 글은 서비스 가입자에게 역시 다이렉트 메시지로 전달이 되어 가입하지 않은 사람은 볼 수 없는 것이다. 위에서 옵션을 선택하면 7일이 지나면 일반 메시지로 전환되어 누구나 해당 메시지를 볼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나름 기발하다. (다이렉트메시지(DM) 등 트위터 이용방법에 대해서는 트위터 이용 가이드를 참고하시기 바란다.)

현재 이 서비스의 가장 큰 타겟은 유명 연예인과 팬클럽이다. 브리트니의 경우 이미 170만명이 넘는 퐐로우어를 확보하는 등 미국에서는 연예인들의 홍보 수단으로 트위터가 각광을 받고 있다. 다른 서비스에서 경험하지 못한 단방향이면서 쌍방향 같은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이 트위터를 돋보이게 하는데.. 유명인의 열성팬이라면 유료 서비스에 가입하는 사람이 많아질지도 모르겠다. 최근 국내에서도 김연아 선수의 퐐로우어가 만명을 돌파했는데.. 연아양이 유료 서비스를 제공하면 많은 분들이 가입할 수도 있을 듯.. 생생한 소식을 올려주면 열광하는 분들이 무척 많을 듯 하다.^^

또 다른 수요처는 자선단체나 NGO에 대한 기부 수단으로 이용할 수도 있을 듯 하다. 정기적으로 소식을 전해주고.. 그에 대한 기부 수단으로 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저도 유료 서비스를 하나 만들어봤는데.. 주제는 "Something Social Project"이다. 웹뿐만 아니라 제가 관심 있어했던 음성 서비스조차도 소셜화되는 시대에 살고 있는데.. 이와 관련된 소식과 분석을 신속-정확하게 전달할 것을 약속드린다. 관심 있으신 분은 가입해 주시길..ㅋㅋ http://superchirp.com/mushman1970 결제는 페이팔이나 신용카드 모두 대환영이다. 굽신굽신~~

과연 이 서비스가 활성화될 수 있을까? 트위터에서 유료 서비스를 내 놓으면 충돌되는 부분도 없지 않아 있을텐데.. 그래도 참 재밌는 서비스이다. 여러분은 140자 밖에 안되는 트위터 메시지를 보는 댓가를 지불할 용의가 있으신가요? 지난 번에 소개했던 twtpoll을 이용해서 바로 설문조사 들어갑니다. 댓글로 의견도 마구마구 남겨주세요.